the politics of zebra ▶ mimic after the mimic/mimic before the mimic ▶ looks like a --, ~처럼 page

2001--2003 Cordyceps (冬蟲夏草) Project
Cordyceps, Work in the Summer of 2001, or Later, Metamorphosis toward the Winter

Yi-hyeun-ryeong Bi-hyeun-ryeong (耳懸鈴鼻懸鈴): Metamorphosis of Parameters For my work, neither place nor time exists as the only substance. Instead, just like yi-hyeun-ryeong, bi-hyeunryeong, being amorphous or the continuous metamorphosis is what count. When self-reference, or self-identification is not present, everything is capable of becoming anything---such anamorphosis of norms.
Being capable of representing, seeming represented, deceiving representation, in discordance with representation, dismantling representation, being anything, yet, being nothing, and because of this, can not be the representation of the whole, or overturning all those directing and those being directed over and over again, and in this confusion of anagrams and anamorphoses, our eyes can be blind more than any other organs of our body.

The Politics of Mimicry and Anamorphosis of Parasitism
*Cordyceps:
Literally refers to being a worm during winter and being a plant during summer. The name cordyceps is given for its special combination of animal and plant characteristics. The ‘cordyceps’ fungus is parasitic on the insect larvae and grows gradually by absorbing nutrients of its host.
The word ‘cordyceps’ can be used as a metaphor. It implies ‘winter and summer’, which represents circulation of yin and yang, and confrontation of seasons; the polar opposite and harmony; suggestive of the dual concept of life and death constituting one body. Just like being impossible to place a greater value on one side or the other, just like encompassing, and thereby neutralizing alienation and confrontation, and denial and compromise, there is a will in search of horizontality like flowing water. It harbors a dream of deviation, not seeking contentment, or constancy. While embracing the alienation on earth, there is a ceaseless flow toward wider and lower.

*The Politics of Zebra: Camouflage
Warning pattern (image of being), concealing pattern (image of non-being), camouflage pattern (image of mimicry).
The politics of zebra pattern makes no distinction between being, non-being and mimicry, proving elusiveness of being. Everything becomes simulacres, which is mimicking themimicry. The zebra-pattern republic is opened up through the politics of image before being closed through the politics of camouflage. Note: Most of the creatures taking on warning colors have venom, but quite a few that have no venom camouflage themselves with such colors. In other words, they are camouflaging themselves as the image of the other of the other----.

Exhibition Plan: The works can be arranged and installed
wherever and whenever as intended, whether inside or outside of the exhibition hall, or in the veranda. And they are displayed in a wide spectrum of locations through cutting in, parasitizing, hanging, lying across, resting on, piling up, and proceeding and hiding.

Materials & Techniques
Bring zebra-pattern clothes, leaf mold, saw dust, cotton, and so on to where it will be exhibited to begin work or bring them after work has been proceeded to some extent.
Have the plants cultivated beforehand and the plants cultivated at the site grow on the zebra-pattern clothes or transplant them.
                                                                                                                                                 myung -seop hong

  cordyceps series
2001
leaf mold, plants,patterned cloth
30×160×40cm
2001--2003 冬蟲夏草project
동충하초 , 2001년 여름 작업, 또는 그 후 겨울로의 변태

이 현령 비 현령 ; 척도들의 변태

나의 작업에는 유일한 실체로서의 장소나 시간이 있을 수 없다. 마치 이 현령 비현령처럼, 귀에 걸면 귀걸이요 코에 걸면 코걸이가 나의 출렁이는 변태의 장소성이되는것이다. 자기동일적 줏대, 존재론적 정체성을 우길 수 없는 사태들의 일렁임 속에서, 귀걸이인가 하면 코걸이요 코걸이인가면 귀걸이 일세.----흐믈거리는 규범의 아나모르포즈들. 마치 그 무엇의 재현 적일 수 있는 느낌들과 재현 적인 듯 하다는 생각들과 재현적임을 기만하는, 재현과 겉도는, 재현을 분쇄하는, 그 어떤 것일 수도 있지만 그 어떤 것이 아닐 수 있는, 그래서더구나 그 전부의 총합적 표현일 수는 없는, 또는 그 모든 지시적인 것들과 지시되는 것들을 서로 뒤집고 있는, 몇 번이고 뒤집기의 뒤집기를 허용해야만 하는 아나그램들과 아나모르포즈들 속에서 우리의 시각은 어떤 오관보다 맹/목적 적일 수가 있다.


의태의 정치학과 기생의 아나모르포즈
* 동충하초 ;
말 그대로 겨울에는 벌레, 여름에는 풀이라는 뜻.; 계절에 따라 동물과 식물을 넘나든다는 의미에서 동충하초(Cordyceps)는 일종의 버섯의 균으로 곤충이나 곤충의 시체에 기생하여 그 숙주의 양분으로 균사를 뻗어간다. 동충하초라는 말은 일종의 독특한 비유를 내포하는 어구로도 사용될 수 있다. 계절의 음양적순환과 대립을 표상하는 <겨울과 여름>, 즉 상극/상생 ; 죽음과 삶이 한 몸을 구축하는쌍 개념 이라는 순리를 보여준다. 그것은 우리가 필요한대로 어느 한 쪽 에만 보다 가치 있는 의미를 부여할 수 없는 그런, 이해중심을 떠나 고립과 대립, 거부와 타협을 무력화하는 순환적 가로지르기를 통찰케 하는, 마치 물과 같은 수평에의 의지 가 있다. 모든 육상의 고립을 휘어 감싸고 넘나들며, 언제나 보다 넓고 낮은 곳을 향해 멈춤 없이 흐르는, 그 런 안주 없는 일탈의 꿈을 간직한다.


* 얼룩무늬의 정치학 ; 일종의 위장무늬 경고무늬(실재 이미지), 은폐무늬(부재 이미지), 위장무늬 (의태 이미지) 얼룩무늬의 정치학은 실재와 부재, 의태의 차이를 없애며 실제에 대한 접근 불가능성을 이용/방증 한다. 모든 것이의태의 의태 이미지라는 시뮬라크르가 된다. 얼룩무늬 공화국에서는 위장의 정치학으로 닫혀 있 기 이전에 이미 이미지 정치학으로 열려 있다. 참고; 경고색을 띄고 있는 생물들은 대체로 독이 있는 것들이지만 실제로 독이 없어도 있는 것처럼 경고 색으로 위장하고 있는 생물들도 제법 있다. 즉, 타자의 타자의 이미지로서 자신을 ---


.작업설치 계획 ; 전시장 안이나 혹은 밖에, 또는 베란다 같은 곳에, 때와 상황에 따라여기저기, 언제 어디 서나, 어디에고 배치 설치 할 수 있다. 즉 끼어들기, 기생하기, 매달기, 빗겨서기, 걸치기, 쌓기, 나아가서 숨 기기까지를 불사하는 적응을 보인다. 작업재료, 방법 ; 얼룩무늬를 한 천에 부엽토와 톱밥, 솜, 흙 따위를 직접 동원하여 현장에 옮겨서 제작하 거나 어느 정도 제작된 것을 날라다 놓기도 한다. 미리 배양한 식물들과 현장에서 직접 배양한 식물들을 이용하여 얼룩무늬 표면 위에서 자라게 하거나 이식한다.                                              홍명섭
page